영문 비지니스 기사 번역

Bloomberg Article Pick & Summary (2021년 6월 1주차)

joanne.son 2021. 6. 6. 16:08

● 미국 내 베이비붐세대, 제너레이션 X세대, 밀레니얼 세대 간의 소득 및 자산 측면에서의 비교하는 내용을 다룬 기사임. 구체적으로 평균적으로 각 세대가 소득 대비 부채를 어느 정도 지고 있는지, 각 세대가 집이라는 자산을 보유 중인지 여부, 학자금 대출을 얼마나 갚았는지, 같은 세대내에서 인종간 소득/자산 격차가 어느정도 나는지에 대해서 다룸. 결론은 어느 세대든 정신 바짝 차리자는 것.

 

- 관련 링크: https://www.bloomberg.com/features/2021-millennials-are-running-out-of-time/?cmpid=BBD060521_WKND&utm_medium=email&utm_source=newsletter&utm_term=210605&utm_campaign=weekendreading&sref=AZRweBR4 

 

●  금년 코로나 19 사태로부터 정상화가 진척되며 각국의 생산재 물가가 급격한 상승세를 보이고 있음. 중국의 경우 정부의 직접적인 물가 통제가 과연 시장의 상승세를 멈출 수 있을지, 미국의 경우 미 연준이 위와 같은 물가 상승현상에 대해 금리 인상의 정책으로 대응할 것인지 여부 등이 이슈가 되고 있음.  과연 현재의 흐름이 일시적인 것인지 혹은 정책 방향의 전환을 요하는 본격적인 변화인지 지속적인 모니터링 필요해보임.

 

- 관련 링크: https://www.bloomberg.com/news/articles/2021-06-04/it-s-time-to-talk-about-more-creative-ways-to-fight-inflation?cmpid=BBD060521_WKND&utm_medium=email&utm_source=newsletter&utm_term=210605&utm_campaign=weekendreading&sref=AZRweBR4 

 

● 헤지펀드, 테크 기업이 뉴욕, 캘리포니아 등 지역에서 텍사스, 오스틴 등의 지역으로 이동하는 경향이 나타남. 이와 같은 변화는 동 지역의 정치적 색채에도 영향을 미칠 것임.

 

- 관련 링크: https://www.bloomberg.com/news/articles/2021-06-04/texas-rising-hedge-funds-big-tech-drive-lone-star-wealth-boom?cmpid=BBD060521_WKND&utm_medium=email&utm_source=newsletter&utm_term=210605&utm_campaign=weekendreading&sref=AZRweBR4 

 

● 원자재의 급격한 물가상승세가 세계 전지역, 각종 산업계에서 광범위하게 나타나고 있음. 이와 같은 현상은 생산자들이 코로나 19사태 이후 회복세를 타고 있는 수요에 대해 무리 없이 대응하기 위해 자원을 확보하는데서 발생함.

 

- 관련 링크: https://www.bloomberg.com/news/articles/2021-05-17/inflation-rate-2021-and-shortages-companies-panic-buying-as-supplies-run-short?cmpid=BBD060421_NEF&utm_medium=email&utm_source=newsletter&utm_term=210604&utm_campaign=nef&sref=AZRweBR4 

 

● 그렇지만 미연준은 1. 중앙은행 제시 인플레이션 기대상승률이 본격적인 물가 상승 신호의 최후의 보루인 점, 2. 고용시장 지표 중 청장년층 고용 지표가 팬데믹 이전 수준으로 회복되지 않은 점, 3. 원유, 목재 따위의 변동성이 높은 물가 대비 stikcy price 물가는 상승폭이 크지 않은 점, 4. 유통시장의 온라인화, 노동시장의 국제화 등 디스인플레이션 유발 구조적 요인이 여전히 상존하는 점, 5. 기업 대상 설문조사에서 5년 후 물가상승기대가 현재 시장에서 발생하는 수준이 아닌 것으로 관측되는 점, 6. 전년대비 지표가 코로나로 인해 왜곡되어있는 점 등을 근거로 최근 물가상승세에 대해 본격적인 대응을 자제하고 있음.

 

- 관련 링크: https://www.bloomberg.com/news/articles/2021-05-13/fed-leaders-are-confident-inflation-is-transitory-here-s-why?sref=AZRweBR4